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들이 수치감 등 심리적 어려움, 사회지지체계 및 정부 지원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15일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성균관대 문은미, 김민아 연구팀의 논문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공개했다.
난임이란 12개월 이상 피임 도구 없이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며 임신을 시도함에도 임신에 실패하는 경우를 뜻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난임 치료를 받은 환자는 약 25만2천명이다. 남성 난임 환자는 전체의 35.4%로 약 9만명에 달한다.
건강보험을 적용받게 된 남성 난임 시술 환자는 지난 2017년 5203명에서 2021년 6만5900명으로 약 12배 증가했다. 그러나 남성 난임은 국가 차원의 조사에서도 포함되는 경우는 드물며 난임 시술 지원에서도 배제되는 등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연구팀은 남성 난임 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난임 시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33∼43세 기혼 남성 8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인터뷰에 참여한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의료기관으로부터 난임 진단을 받은 후 자신이 난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웠고, 두려움과 막막함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또 가족들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와 배우자와의 관계 악화, 난임 시술 공개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 사회적 지지체계 부족 등을 공통으로 경험했다.
정상 정자 부족으로 난임 진단을 받은 C(35)씨는 "비정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부끄럽고 수치스러웠고, 스스로를 많이 탓했다"고 말했다.
한 참가자는 "난임 시술 결과에 대해 과도한 호기심을 가진 지인들이 반복적으로 질문을 할 때마다 부담감을 느낀다"며 "내가 원해서 시험관 시술을 하고 있는 건데 동정을 할 때마다 왜 동정을 하는 건지 모르겠다. 동정받을 일은 아니지 않나"라고 했다.
정상 정자 부족으로 난임 진단을 받은 E(38)씨는 "와이프가 이런 고통을 받지 않을 수 있었을 텐데, (나로 인해서) 받게 해서 미안한 마음이 컸고 죄인이 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했다.
난임 시술을 위한 잦은 병원 방문으로 직장에 난임 사실을 공개할 수밖에 없어 스트레스와 부담을 느꼈다고는 답변도 나왔다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난임 시술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져오는 스트레스를 호소했다. 특히 난임 시술 급여 중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인정 급여는 제한적이고, 이마저도 여성의 보조생식술 시술이 시작되고 차수가 적용될 때까지만 급여 적용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정자 생성을 위해 진행하는 호르몬 치료에 들어가는 약제비도 여성 약제비의 몇 배에 달한다고 한다.
염색제 전좌로 난임 진단을 받은 A(37)씨는 "PGT(염색체 구조적 이상을 보는 착상 전 유전학 검사)에 2천만원 정도를 썼다"고 했다.
참가자들은 비교적 난임 휴가 규정이 잘 마련되어 있는 직장을 다니는 경우라고 해도, 여성 중심의 난임 치료 휴가 체계가 구축되어 있어 시술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기는 어렵다고 토로했다. 예를 들어 고환채취술을 받는 경우 일주일가량의 휴식이 필요하지만, 난임치료시술휴가는 하루만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충분히 체력을 회복하기 힘들다고 답변했다.
연구팀은 "남성에게 주어지는 난임 시술 치료 휴가는 남성이 건강을 회복하기에 턱없이 부족하고, 이마저도 직장 상황에 따라 사용하기 어려워 난임 남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