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휴지기에 들어간 모낭을 다시 성장기로 전환해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 연구팀은 ALDH2 활성도를 높이면 세포 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해 모발 성장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이다. 남성호르몬과 유전적·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모발이 가늘어지고 점차 성장이 억제되면서 발생한다.
탈모에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돼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또한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ALDH2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기능이 있다
연구팀은 ALDH2이 모발 성장과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효소의 활성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은 ALDH2 활성화제를 투입해 휴지기 모낭과 성장기 모낭에서의 활성도 차이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실험 결과, 머리카락을 생성하는 모낭상피세포층을 중심으로 ALDH2 활성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머리카락이 성장을 멈추는 휴지기에는 ALDH2 활성도 발현이 미미하다가 모발 성장기로 전환되면서 발현이 급증했다.
연구팀은 효소의 활성화 정도가 모낭의 휴지기에는 미미하다가 성장기로 전환했을 때 증가하는 점으로 미뤄보아 이 효소가 모발의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인간 모낭 기관배양 실험 및 마우스 동물실험 결과에서도 ALDH2 활성화가 모발 성장기로의 전환을 유도하며 머리카락의 길이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가 확인됐다. 이 같은 효과는 기존에 출시된 탈모 치료제 미녹시딜을 도포한 대조군과도 비슷한 수준이다.
또 ALDH2 활성화는 모낭 형성과 유지에 관여하는 베타카테닌이라는 체내 단백질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안드로겐성 탈모를 포함한 다양한 탈모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오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ALDH2 활성화가 모낭에 미치는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모발 성장기 단계로 유도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