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대사능력이 낮은 사람이 주종에 관계 없이 약 4잔 이상 과음하면 심방세동 등 심장질환 위험이 더 높아진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오세일 교수와 박찬순 임상강사 연구팀은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영국 바이오뱅크 코호트에 등록된 40여만명을 대상으로 알코올 대사능력 및 일평균 음주량에 따른 심방세동 발생 위험을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심방세동은 심장이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뇌졸중이나 치매, 심부전의 주요 위험인자다.
심방세동 위험이 흡연·비만·운동부족 등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으로 인해 높아진다는 사실은 잘 알려진 반면, '음주'와 심방세동 위험의 상관관계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다.
연구팀은 심방세동 병력이 없는 39만9천329명을 일평균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비음주자(0g)와 경-중등도 음주자(<30g, 약 4잔 미만) ▲과음자(≥30g, 약 4잔 이상)로 구분했다.
이어 '알코올 대사능력'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다유전자 위험점수에 따라 각 집단을 '낮음', '보통', '높음'군으로 다시 구분한 뒤, 심방세동이 새롭게 발생할 위험을 약 12년간 추적했다. 
그 결과, '알코올 대사능력 낮은 과음자' 그룹의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제일 컸다.
다만 음주량에 따라 알코올 대사능력과 심방세동 발생 위험 사이의 연관성은 달랐다.
과음자는 알코올 대사능력이 높아질수록 심방세동 위험이 감소한 반면, 경-중등도 음주자와 비음주자에서는 이와 같은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 이번 실험에서는 알코올 대사능력과 관계 없이 일평균 알코올 8g(주종과 관계없이 약 1잔)을 더 섭취할 때마다 심방세동 위험도가 1%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기내과 오세일 교수는 "사람마다 동일하게 음주를 해도 심방세동 위험은 다르기때문에, 알코올 대사능력이 낮아은 사람은 금주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