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사이 서울 초등학생들의 우울감과 불안감이 지속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이 19일 발표한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3차년도 결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정서적 어려움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가 확인됐다.
초등학생의 우울감은 3점 만점 기준으로 2021년 0.51점에서 2022년 0.66점, 2023년에는 0.73점으로 매년 상승했다. 불안감(1점 만점 기준) 역시 상승세를 보였는데, '과도한 걱정'은 2021년 0.44점에서 2023년 0.58점으로, '예민함'은 같은 기간 0.41점에서 0.49점으로, '부정적 정서'는 0.17점에서 0.26점으로 각각 높아졌다.
연구진은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 학업과 또래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스마트폰과 SNS·유튜브 등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 증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과 경제적 어려움, 수면 시간 감소 등을 지적했다. 특히 SNS 사용의 영향이 두드러지는데, 초등학생들이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유튜브 등을 통해 타인의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자극적인 영상과 이야기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한 자문위원은 학생들의 부모 세대인 1980년대생 학부모의 양육 태도에 주목하며, 작은 좌절이나 불안에 대해 과도하게 정서적으로 보호받고 자란 아동일수록 실제로는 불안 수준이 높고, 일상적인 어려움에도 크게 좌절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서울학생종단연구는 서울시 초등학교 113개교, 중학교 98개교, 고등학교 99개교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정서 및 행동 특성을 장기적으로 추적해 분석하는 조사로, 이번 보고서는 2021년 당시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들을 3년간 추적해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