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바 코로나 슈퍼 변이가 발견돼 세계 과학자들이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이 변이종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유전자 변이 32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숙주 세포로 침투하기 때문에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전파력에 의미심장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는 것이 위험한 까닭은 현재 접종되고 있는 코로나 백신이 모두 스파이크 단백질에 작용하는 방식이기에 변이의 정도나 경우에 따라서 백신이 돌파 감염으로 인해 무력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B.1.1.529 변이는 총 10여건이다. 최초 발견은 지난달 11일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였다. 이후 보츠와나에서 2건이 더 확인됐다. 이후 6건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1건은 홍콩에서 발견됐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바이러스학자인 톰 피콕 박사는 B.1.1.529 변이종의 바이러스 정보를 유전체 정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하면서 "매우 많은 양의 스파이크 돌연변이가 크게 우려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아주, 아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며 "전파력이 그다지 크지 않은 이상한 종으로 드러날 수 있다. 그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프랑수아 발루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유전학 연구소 교수도 이번 변이 발견에 입장을 밝혔다. 그는 "중화 항체들이 알파·델타 변이보다 이 변이종을 인식하기 더 어려울 것"이라며 "지금 단계에서는 전파력을 예측하기 어렵다. 시간이 중요한 만큼 면밀히 관찰·분석해야겠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 급격히 확산하는 것이 아니라면,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도 없다"고 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