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와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내분비내과 한유진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 환자가 저혈당과 치매를 함께 앓는 경우 사망 위험도가 최대 5.1배까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세브란스병원이 9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이용호 교수와 한유진 교수는 2형 당뇨병 환자가 중증 저혈당으로 한번이라도 치료받으면 치매 위험도는 50% 올라가고, 사망 위험도는 29% 올라간다는 것을 밝혔다. 중증 저혈당과 치매를 모두 앓으면 사망 위험도는 5.1배까지 증가한다. 


저혈당은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진 상태다. 


연구팀은 중증 저혈당이 치매 발생과 사마엥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기 위해 중증 저혈당 환자가 치매와 사망으로 이어지는 케이스를 조사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에서 2009년 치매가 없는 40세 이상 2형 당뇨병 환자 2백만 여명을 대상으로 2006-2009년 사이 중증 저혈당 칠 횟수를 확인했는데, 그 결과 중증 저혈당으로 최소 1회 이상 치료받은 환자는 1만 4,443(0.7%)이었다.


이어 2015년 12월까지 약 7년 기간을 추적관찰해 환자들이 치매를 앓는 경우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가 많을수록 치매 위험이 중가했다. 이 분석으로 치매 발생 위험은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와 비교했을 때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8배 높았다. 치매 유형별로는 알츠하이머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는 1.9배, 혈관성 치매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는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는 1.4배 각각 상승했다. 


아울러 2009년 치매가 있는 당뇨병 환자 가운데 2015년도까지의 사망자를 확인했는데, 사망자 수는 5만1천567명이었다. 사망 위험도는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 대비 1회 치료군에서 29%, 2회 치료군에서 35% 증가했다.


병원 측은 "중증 저혈당 치료와 치매 진단을 받은 당뇨병 환자의 사망위험도는 두 질환이 없는 환자에 비해 5.1배 상승했다. 중증 저혈당이 없는 치매 환자의 사망위험도는 2배, 중증 저혈당 치료를 받았지만 치매가 없는 환자의 사망위험도는 4.3배 각각 높았다"라고 정리했다.


연구를 주도한 이용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가 고혈당 조절 못지않게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저혈당 고위험군에서 개별 환자에 맞춘 혈당 조절 목표 설정으로 당뇨병 합병증 예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용호 교수, 한유진 교수
(Photo : )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공식 학술지 임상내분비대사 저널(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최신호에 게재되었다고 세브란스 측은 밝혔다. 

Copyright © 의약일보